초강력 태풍 제11호 힌남노의 상륙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한국 기상은 9월 6일 9시 부산 서쪽 40km 부근에 태풍이 상륙할 것으로 예보하고 있는데요. 이때 중심기압은 950950 헥토 파스칼, 최대 풍속은 초속 40미터 정도로 예상되며 최대 순간풍속은 통상 최대 풍속의 약 1.5배이므로 최대 순간풍속은 초속 60m가 됩니다. 이 정도 바람을 정면에서 맞으면 웬만한 자동차가 공중부양을 하게 되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오키나와의 상항
태풍 제11호 힌남노가 일본 오키나와 제도를 통과해서 북상하고 있는데 일본 오키나와의 미야코지마에는 강한 바람과 함께 높은 파도가 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야코지마와 이라부 섬을 잇는 35km의 이라부 대교가 폐쇄되었습니다. 이 부근에는 현재 최대 풍속 초속 40m의 강풍이 불고 있는데 초속 40m의 강풍은 달리는 열차를 탈선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힘이니 다리를 폐쇄한 것은 당연한 조치로 보입니다.
북상하며 다시 되살아난 태풍의 눈
태풍 제11호 힌남노의 아우터 밴드가 멀리 1천 킬로미터나 떨어진 규슈 남쪽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매우 두터운 비구름이 태풍의 중심을 향해 빨려 들어가는 모습을 보이는 현 상황은 힌남노가 점차 세력을 키우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상황입니다. 흐트러졌던 구름은 점차 둥근 원형을 띄며 한동안 보이지 않았던 태풍의 눈이 다시 되살아나고 있는데 이것은 태풍이 강력한 세력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9월 4일의 일기도를 보시면 태풍 제11호 힌남노는 오키나와 제도를 지나 동중국해를 천천히 북상하고 있으며 이때 중심기압은 945헥토파스칼 최대 풍속은 85 초속 43미터를 보이고 있습니다.
9월 5일 월요일입니다. 북상하면서 오히려 더 세력을 키우는 모습이 확인되는데 이 때 중심기압은 925헥토파스칼 최대풍속은 95노트 즉 초속 48m입니다. 우리나라 상륙을 이틀 앞두고 태풍이 이 정도 세력이 된다는 것은 매우 위협적인 사황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괜찮겠지라는 생각은 버리고 긴장의 끊을 놓아서는 안 되겠습니다.
연직시어
다시 한번 태풍의 모습을 보시면 태풍이 다시 원형의 모습을 갖추고 있는데 상공의 바람과 해상에 부는 바람의 차가 크지 않는 상황인데 연직시어가 적다고 작다고 이야기합니다. 연직시어가 작다는 말은 태풍이 위력적이라는 말이고 연직시어가 커질수록 태풍의 힘이 약화되다가 태풍이 소멸되기도 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연직시어가 작을 경우 공기를 빨아들이고 내보내는 순환이 아주 원활한 상태로 바람의 세기가 강합니다.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요소는 제주도 남쪽 해역은 현재 해수온이 매우 높아 태풍의 에너지원이 줄어들 일이 없어서
태풍의 입장에서는 많은 양의 비와 강한 바람을 동반한 상태에서 장애 요소 없이 북상함을 뜻합니다.
예측 경로 역대급 태풍
가장 최신의 앙상블 모델을 보면 이제 앙상블 멤버 각 기상청 간의 태풍 경로에 대한 예상 편차가 매우 적어졌습니다. 태풍이 일본 쪽으로 간다는 예측은 거의 없고 우리나라 동남권에 상륙하는 경로가 많습니다. 평균값은 제주도를 지나 부산 부근에 상륙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유럽 미국 그리고 독일 기상청의 이번 태풍에 대한 예상 경로를 날짜별로 살펴보면 9월 4일 일요일 12시 태풍은 오키나와를 지나 동중국해에 들어가 있습니다. 이 해역은 아직 해수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태풍은 당분간 발달을 계속하면서 북상합니다. 태풍의 이동 속도는 시속 15km 정도입니다.
상하이 앞바다에서 북동 방향으로 꺾은 후 상공의 편서풍을 타고 이동 속도가 빨라집니다. 제주도에 가까워질수록 속력은 더더욱 빨라지며 우리나라에 상륙합니다.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위치나 상륙 시각 그리고 그때의 중심 기압은 각각 다릅니다.
유럽은 96 헥토파스칼, 미국은 965헥토파스칼 독일은 956 헥토 파스칼 각각 다릅니다. 태풍 사라나 루사 매미와 같은 태풍 빅 3가3 우리나라에 상륙할 때 중심기압이 950에서 960 헥토 파스칼 정도였습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를 지나쳐간 태풍의 중심 기압 중 최고 기록은 1959년 제14호 태풍 사라가 부산을 통과할 때 관측된 중심기압 951.5 헥토파스칼이었으며 이 기록은 현재까지 깨지지 않고 있는데 이번에 그 기록이 깨질까 하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이번 태풍 힌남노는 예전 빅 33 태풍에 버금가는 강한 세력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엄청난 폭우, 바람 예상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태풍 상륙을 전후해서 엄청난 폭우로 인한 엄청난 피해가 예상된다는 점입니다. 얼마 전 서울에 내린 엄청난 국지성 호우로 인해 발생한 피해를 생각하시면 정말 준비를 단단히 하셔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 기상청이 9월 4일 공 4시에 발표한 통보문을 보면 태풍은 제주도를 통과할 때 945 헥토 바스칼 최대 풍속은 초속 45m를 예상하고 있으며 남해안에 상륙할 때는 중심기압 950 헥토 파스칼 최대 풍속은 초속 40m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태풍 빅 3을3 넘어서는 위력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일반적으로 최대 풍속이 초속 17m를 넘으면 태풍이 되는데 이 정도 바람으로 간판이 날아가고 큰 피해를 줍니다. 그리고 초속 25m를 넘으면 중형 태풍이라고 합니다. 중형 태풍에서는 지붕이 날아갑니다. 초속 33m를 넘으면 강한 태풍으로 분류하며 달리던 열차가 탈선하는 것은 물론 달리던 트레일러가 옆으로 쓰러지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초속 44m가 넘으면 매우 강한 태풍으로 분류하는데 현재 힌남노는 사람뿐 아니라 자동차도 날아갈 수 있는 매우 강한 태풍입니다. 태풍의 풍속이 초속 54m가 넘으면 초강력 태풍이라고 합니다.
강풍도 문제지만 호우도 문제입니다 한국 기상청은 이번 태풍으로 전국에 100에서 300mm의 강수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도 산지는 600ml의 물 폭탄이 올 수도 있으며 해안가의 경우 또한 만조와 겹치는 곳에서는 폭풍 해일이 발생하고 넓은 지역이 침수될 수 있습니다. 과거 빅 3이3 태풍의 버금가는 매우 위험한 태풍이 올라있으니 단단히 대비하셔서 아무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유리창 로봇 청소기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